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8년 창단되었으며, FIFA 여자 월드컵에서 1995년 우승, 1991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7년과 1993년에 우승했으며, 1996년 올림픽에서 동메달, 2000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헤게 리세는 최다 출장 기록을, 이사벨 헤를로브센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FIFA 랭킹은 16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축구 - 노르웨이 축구 협회
노르웨이 축구 협회는 1902년에 창립되어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을 운영하며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FIFA 여자 월드컵 금메달 등의 국제 대회 성적을 거둔 노르웨이의 축구 administration 기구이다. - 노르웨이의 축구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0년대 후반 황금기, 1990년대 에길 올센 감독 시절 FIFA 랭킹 2위까지 오르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UEFA 유로 2000 진출 이후 주요 대회에서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스타일 솔바켄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협회 | 노르웨이 축구 연맹(Norges Fotballforbund) |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UEFA) |
FIFA 코드 | NOR |
별칭 | 그레스호페네 (Gresshoppene, 메뚜기) |
코칭 스태프 | |
감독 | 젬마 그레인저 |
주장 | 마렌 먈데 |
선수 | |
최다 출장 선수 | 헤게 리세(188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이사벨 헤를로브센(67골)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스웨덴 2–1 노르웨이 (콜링, 덴마크; 1978년 7월 7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노르웨이 17–0 슬로바키아 (울레포스, 노르웨이; 1995년 9월 19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잉글랜드 8–0 노르웨이 (팔머, 잉글랜드; 2022년 7월 11일) |
FIFA 랭킹 | |
최고 랭킹 | 2위 (2003년 7월 – 8월) |
최저 랭킹 | 16위 (2023년 12월 – 2024년 12월) |
월드컵 | |
출전 횟수 | 9회 |
첫 출전 | 1991년 |
최고 성적 | 우승 (1995년) |
올림픽 | |
출전 횟수 | 3회 |
첫 출전 | 1996년 |
최고 성적 | 금메달 (2000년) |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13회 |
첫 출전 | 1987년 |
최고 성적 | 우승 (1987년, 1993년) |
메달 기록 | |
하계 올림픽 | 2000 시드니 금메달 1996 애틀랜타 동메달 |
FIFA 여자 월드컵 | 1995 스웨덴 금메달 1991 중국 은메달 |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1987 노르웨이 금메달 1993 이탈리아 금메달 1989 서독 은메달 1991 덴마크 은메달 2005 잉글랜드 은메달 2013 스웨덴 은메달 1995 독일 동메달 2001 독일 동메달 2009 핀란드 동메달 |
2. 역사
1978년 7월 7일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1-2로 패하며 국제 A매치 데뷔를 했다.[2]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서유럽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78년에 북유럽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면서 창단되었지만, 북유럽 국가에서는 늦은 편이었다. 노르웨이는 아이슬란드만을 상대로 승리했다. 공식 클럽과 리그 시스템에 대한 문화가 부족했던 노르웨이는 이웃 국가인 스웨덴과 덴마크를 따라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따라서 초창기에는 이웃 국가들에게 패배했고, 결국 북아일랜드를 상대로 첫 승을 거두었다.
개최국 / 연도 | 성적 | 시합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4 | 불참 | ||||||
1975 | |||||||
1976 | |||||||
1977 | |||||||
1978 | 4위 | 3 | 0 | 0 | 3 | 1 | 5 |
1979 | 4위 | 3 | 0 | 0 | 3 | 2 | 6 |
1980 | 3위 | 3 | 0 | 2 | 1 | 2 | 6 |
1981 | 4위 | 3 | 0 | 1 | 2 | 2 | 5 |
1982 | 3위 | 3 | 0 | 3 | 0 | 3 | 3 |
합계 | 5회 출전 | 15 | 0 | 6 | 9 | 10 | 25 |
노르웨이는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문제를 겪는 듯했고, 곧 0-5로 패했는데, 이는 당시 노르웨이의 가장 큰 패배였다. 그러나 다른 팀들과 비교했을 때 노르웨이는 향상되었고, 1987년 유로 예선에서 덴마크와 서독을 꺾었다. 1980년까지 남자 유로가 그랬던 것처럼 유로 대회는 두 개의 준결승전과 결승전으로 구성되었으며, 예선을 통과한 국가 중 한 곳에서 열렸다. 노르웨이가 4경기를 모두 개최했다. 노르웨이는 준결승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결승에서 스웨덴과 만났다. 결승전은 노르웨이가 스웨덴을 상대로 처음 승리한 경기였으며, 2-1로 승리했다. 이로써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노르웨이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보다 11년 앞서 노르웨이 스포츠 팀 중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노르웨이는 다음 해에도 승리를 이어갔는데, 중국에서 열린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다시 스웨덴을 꺾었다. 1989년 유로에서 노르웨이는 결승에서 서독과 맞붙었지만, 이번에는 1-4로 패했다. 그 패배 후 코치진이 사임했고, 에벤 펠레루드가 지휘봉을 잡았다. 펠레루드는 노르웨이가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하는 것을 지켜봤다. 첫 번째 공식 월드컵 전에 노르웨이는 유로 대회에서 네 번째(그리고 노르웨이의 3회 연속) 결승에 진출했고, 다시 독일과 만났다. 독일은 연장전에서 승리했다. 월드컵에서 노르웨이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미국에 패했다.
그 후 펠레루드는 팀을 이끌고 1993년 유로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준결승에서 덴마크를, 결승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두 번째 유로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1994년 알가르브 컵에서 우승했는데, 이 대회는 최초로 개최되었다. 다음 해의 초점은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과 월드컵 예선으로도 기능한 유로 대회였다. 노르웨이는 8강에서 이미 이탈리아와 맞붙어 승리했다. 스웨덴은 다시 돌아와 스웨덴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 노르웨이를 5-7로 꺾었다. 노르웨이는 여전히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노르웨이는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모든 경기를 승리하고, 8강전에서 덴마크를 꺾었다.[3] 준결승에서는 미국을 안 크리스틴 아로네스의 선제골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3] 결승전에서는 이전에 두 번의 유로 결승에서 패배했던 독일을 상대로 4분 만에 두 골을 넣어 승리하며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3]
199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월드컵과 동등한 수준으로 여겨졌으며, 노르웨이는 월드컵 우승으로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4] 노르웨이는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비기고, 독일과 일본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미국에 패했다.[4] 하지만 브라질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4]
1997년 유로는 홈에서 열렸지만, 노르웨이는 준결승 진출에 그쳤다.[4]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조별 예선을 모두 승리하고 8강에서 스웨덴을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5-0으로 대패했다.[4]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브라질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4]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미국에 패하며 시작했지만, 나이지리아와 중국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4] 준결승에서는 독일을 상대로 티나 분덜리히의 자책골로 승리했다.[4] 결승전에서는 미국을 상대로 그로 에스페세스와 라그닐드 굴브란센의 골로 앞서나갔으나, 티페니 밀브렛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연장전에 돌입했고, 골든 골로 패배했다.[4]
노르웨이는 오게 스틴 감독 체제 하에 팀의 성적이 최고 수준에서 평범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200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노르웨이는 부진한 경기를 펼쳤지만, 프랑스 덕분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독일에게 완패했다.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브라질에게 1-4로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고, 8강에서 미국에게 패하며 실망스러운 결과를 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유럽 팀에게 주어진 두 장의 출전권을 스웨덴과 독일이 가져가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스틴은 계약에 따라 1년을 더 감독직을 수행했지만, 2004년 말에 교체되었다.
뱌르네 베른트센 감독 아래에서 노르웨이는 2005년 유럽 선수권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준결승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한 것은 고전적인 승리였다. 다시 독일이 노르웨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알가르브컵에서 결과가 나빠지기 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중국에서 열린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캐나다를 간신히 꺾고, 가나를 7-2로 이기면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을 1-0으로 꺾고 더 나아갔지만, 준결승에서 독일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미국에 1-4로 패하며 월드컵 4위로 마무리했고, 이로 인해 베이징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노르웨이의 최고 득점자인 라그닐드 굴브란센은 브라질의 마르타와 미국의 애비 왐바크에 이어 브론즈 부트를 수상했다.
그 이후 베른트센의 운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먼저 그는 중국에서 돌아오는 새벽 1시에 리세 클라베네스에게 자신 밑에서는 국가대표팀에 미래가 없다고 말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그는 나중에 이 실수를 인정했다. 그 후 2008년 올림픽에서 노르웨이는 먼저 미국을 인상적으로 이겼지만, 일본에 1-5로 패했고, 브라질과의 8강전에서 탈락했다. 2008년 10월, 5명의 선수가 베른트센 감독 아래에서 뛰는 것이 너무 큰 부담이라는 뉘앙스의 발언을 하며 국가대표팀 출전을 거부해 언론의 비난을 받았다. 팀 규모가 줄어들었고, 일부 덜 논란이 되는 사임 이후에도 노르웨이는 2009년 UEFA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8강에서 스웨덴을 3-1로 꺾는 비교적 좋은 결과를 냈다. 심지어 독일에게 0-4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고, 아이슬란드에게 1-0으로, 프랑스에게 1-1로 부진한 경기를 펼쳤음에도 말이다. 선수권 대회 이후 베른트센의 계약은 종료되었다.
노르웨이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독일, 태국,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조별 예선에서 태국을 4-0, 코트디부아르를 3-1로 꺾고 독일과 1-1로 비기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16강전에서 잉글랜드에 2-1로 패했다. 잉글랜드는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12월 16일, 마르틴 쇠그렌이 노르웨이의 새로운 감독으로 소개되었다. 그는 이전 다말스벤스칸에서 린셰핑과 LdB FC 말뫼를 지도한 경험이 있었다.[7] 노르웨이는 유로 2017 예선에서 무패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를 상대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8]
2017년 9월 9일, 노르웨이의 공격수이자 2016년 UEFA 올해의 여자 선수인 아다 헤게르베르그는 국가대표팀에서 휴식을 취하겠다고 발표했다.[9] 2017년 10월 7일, 노르웨이 축구 협회는 노르웨이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들이 동일한 재정적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018년 9월 4일, 노르웨이는 UEFA 월드컵 예선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네덜란드를 2-1로 꺾고 2019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1]
유로 2022 조별 리그에서는 잉글랜드에게 8-0으로 패하며 팀 역사상 가장 큰 패배를 기록했다.[12] 노르웨이는 오스트리아에 0-1로 패하면서[13], 북아일랜드와의 개막전 승리를 제외하고는 1승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1. A power to be reckoned with (주목할 만한 세력으로)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유럽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북유럽의 이웃들을 완전히 능가하지는 못했다.[2] 잉글랜드, 프랑스, 스위스를 이겼다. 최초의 UEFA 여자 선수권 대회(이후 UEFA 여자 선수권 대회로 명칭 변경) 예선에서 노르웨이는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와 맞붙었다. 노르웨이는 스웨덴에 모두 패했지만, 핀란드를 상대로는 모두 승리했다. 아이슬란드를 상대로 홈에서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예선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후 스웨덴이 유로 우승을 차지했다.[2]개최국 / 연도 | 성적 | 시합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4 | 불참 | ||||||
1975 | |||||||
1976 | |||||||
1977 | |||||||
1978 | 4위 | 3 | 0 | 0 | 3 | 1 | 5 |
1979 | 4위 | 3 | 0 | 0 | 3 | 2 | 6 |
1980 | 3위 | 3 | 0 | 2 | 1 | 2 | 6 |
1981 | 4위 | 3 | 0 | 1 | 2 | 2 | 5 |
1982 | 3위 | 3 | 0 | 3 | 0 | 3 | 3 |
합계 | 5회 출전 | 15 | 0 | 6 | 9 | 10 | 25 |
2. 2. The start of the golden years (황금기의 시작)
노르웨이는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문제를 겪는 듯했고, 곧 0-5로 패했는데, 이는 당시 노르웨이의 가장 큰 패배였다. 그러나 다른 팀들과 비교했을 때 노르웨이는 향상되었고, 1987년 유로 예선에서 덴마크와 서독을 꺾었다. 1980년까지 남자 유로가 그랬던 것처럼 유로 대회는 두 개의 준결승전과 결승전으로 구성되었으며, 예선을 통과한 국가 중 한 곳에서 열렸다. 노르웨이가 4경기를 모두 개최했다. 노르웨이는 준결승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결승에서 스웨덴과 만났다. 결승전은 노르웨이가 스웨덴을 상대로 처음 승리한 경기였으며, 2-1로 승리했다. 이로써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노르웨이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보다 11년 앞서 노르웨이 스포츠 팀 중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노르웨이는 다음 해에도 승리를 이어갔는데, 중국에서 열린 1988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다시 스웨덴을 꺾었다. 1989년 유로에서 노르웨이는 결승에서 서독과 맞붙었지만, 이번에는 1-4로 패했다. 그 패배 후 코치진이 사임했고, 에벤 펠레루드가 지휘봉을 잡았다. 펠레루드는 노르웨이가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하는 것을 지켜봤다. 첫 번째 공식 월드컵 전에 노르웨이는 유로 대회에서 네 번째(그리고 노르웨이의 3회 연속) 결승에 진출했고, 다시 독일과 만났다. 독일은 연장전에서 승리했다. 월드컵에서 노르웨이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미국에 패했다.
그 후 펠레루드는 팀을 이끌고 1993년 유로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준결승에서 덴마크를, 결승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두 번째 유로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1994년 알가르베 컵에서 우승했는데, 이 대회는 최초로 개최되었다. 다음 해의 초점은 1995년 FIFA 여자 월드컵과 월드컵 예선으로도 기능한 유로 대회였다. 노르웨이는 8강에서 이미 이탈리아와 맞붙어 승리했다. 스웨덴은 다시 돌아와 스웨덴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 노르웨이를 5-7로 꺾었다. 노르웨이는 여전히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 3. World Champions and beyond (세계 챔피언 그 이상)
노르웨이는 1995년 스웨덴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모든 경기를 승리하고, 8강전에서 덴마크를 꺾었다.[3] 준결승에서는 미국을 안 크리스틴 아로네스의 선제골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3] 결승전에서는 이전에 두 번의 유로 결승에서 패배했던 독일을 상대로 4분 만에 두 골을 넣어 승리하며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3]199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월드컵과 동등한 수준으로 여겨졌으며, 노르웨이는 월드컵 우승으로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4] 노르웨이는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비기고, 독일과 일본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미국에 패했다.[4] 하지만 브라질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4]
1997년 유로는 홈에서 열렸지만, 노르웨이는 준결승 진출에 그쳤다.[4]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조별 예선을 모두 승리하고 8강에서 스웨덴을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5-0으로 대패했다.[4]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브라질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4]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미국에 패하며 시작했지만, 나이지리아와 중국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4] 준결승에서는 독일을 상대로 티나 분덜리히의 자책골로 승리했다.[4] 결승전에서는 미국을 상대로 그로 에스페세스와 라그닐드 굴브란센의 골로 앞서나갔으나, 티페니 밀브렛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연장전에 돌입했고, 골든 골로 패배했다.[4]
2. 4. Decline (쇠퇴)
노르웨이는 오게 스틴 감독 체제 하에 팀의 성적이 최고 수준에서 평범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200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노르웨이는 부진한 경기를 펼쳤지만, 프랑스 덕분에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독일에게 완패했다.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브라질에게 1-4로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고, 8강에서 미국에게 패하며 실망스러운 결과를 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유럽 팀에게 주어진 두 장의 출전권을 스웨덴과 독일이 가져가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스틴은 계약에 따라 1년을 더 감독직을 수행했지만, 2004년 말에 교체되었다.2. 5. Brief recovery (짧은 회복기)
뱌르네 베른트센 감독 아래에서 노르웨이는 2005년 유럽 선수권 대회 결승에 진출하여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준결승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한 것은 고전적인 승리였다. 다시 독일이 노르웨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알가르브컵에서 결과가 나빠지기 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중국에서 열린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캐나다를 간신히 꺾고, 가나를 7-2로 이기면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을 1-0으로 꺾고 더 나아갔지만, 준결승에서 독일에게 0-3으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미국에 1-4로 패하며 월드컵 4위로 마무리했고, 이로 인해 베이징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노르웨이의 최고 득점자인 라그닐드 굴브란센은 브라질의 마르타와 미국의 애비 왐바크에 이어 브론즈 부트를 수상했다.
그 이후 베른트센의 운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먼저 그는 중국에서 돌아오는 새벽 1시에 리세 클라베네스에게 자신 밑에서는 국가대표팀에 미래가 없다고 말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그는 나중에 이 실수를 인정했다. 그 후 2008년 올림픽에서 노르웨이는 먼저 미국을 인상적으로 이겼지만, 일본에 1-5로 패했고, 브라질과의 8강전에서 탈락했다. 2008년 10월, 5명의 선수가 베른트센 감독 아래에서 뛰는 것이 너무 큰 부담이라는 뉘앙스의 발언을 하며 국가대표팀 출전을 거부해 언론의 비난을 받았다. 팀 규모가 줄어들었고, 일부 덜 논란이 되는 사임 이후에도 노르웨이는 2009년 UEFA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8강에서 스웨덴을 3-1로 꺾는 비교적 좋은 결과를 냈다. 심지어 독일에게 0-4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고, 아이슬란드에게 1-0으로, 프랑스에게 1-1로 부진한 경기를 펼쳤음에도 말이다. 선수권 대회 이후 베른트센의 계약은 종료되었다.
2. 6. Struggle (투쟁)
노르웨이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독일, 태국,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조별 예선에서 태국을 4-0, 코트디부아르를 3-1로 꺾고 독일과 1-1로 비기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16강전에서 잉글랜드에 2-1로 패했다. 잉글랜드는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2. 7. 2016–present (2016년-현재)
2016년 12월 16일, 마르틴 쇠그렌이 노르웨이의 새로운 감독으로 소개되었다. 그는 이전 다말스벤스칸에서 린셰핑과 LdB FC 말뫼를 지도한 경험이 있었다.[7] 노르웨이는 유로 2017 예선에서 무패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를 상대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8]2017년 9월 9일, 노르웨이의 공격수이자 2016년 UEFA 올해의 여자 선수인 아다 헤게르베르그는 국가대표팀에서 휴식을 취하겠다고 발표했다.[9] 2017년 10월 7일, 노르웨이 축구 협회는 노르웨이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들이 동일한 재정적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018년 9월 4일, 노르웨이는 UEFA 월드컵 예선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네덜란드를 2-1로 꺾고 2019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1]
유로 2022 조별 리그에서는 잉글랜드에게 8-0으로 패하며 팀 역사상 가장 큰 패배를 기록했다.[12] 노르웨이는 오스트리아에 0-1로 패하면서[13], 북아일랜드와의 개막전 승리를 제외하고는 1승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199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2019년 대회까지 8회 연속 여자 월드컵 본선에 올라 1995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초대 대회인 1991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나, 이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꾸준히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다.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1년 | 준우승 | 6 | 4 | 0 | 2 | 14 | 10 |
1995년 | 우승 | 6 | 6 | 0 | 0 | 23 | 1 |
1999년 | 4위 | 6 | 4 | 1 | 1 | 16 | 8 |
2003년 | 8강 | 4 | 2 | 0 | 2 | 10 | 6 |
2007년 | 4위 | 6 | 3 | 1 | 2 | 12 | 11 |
2011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2 | 5 |
2015년 | 16강 | 4 | 2 | 1 | 1 | 9 | 4 |
2019년 | 8강 | 5 | 2 | 1 | 2 | 7 | 7 |
2023년 | 16강 | 4 | 1 | 1 | 2 | 7 | 4 |
합계 | 9/9 | 44 | 25 | 5 | 14 | 100 | 56 |
FIFA 여자 월드컵 역사 | |||||
---|---|---|---|---|---|
년도 | 단계 | 날짜 | 상대팀 | 결과 | 경기장 |
1991 | Group stage | 11월 16일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패 0–4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11월 19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승 4–0 | 광둥성 스포츠 경기장, 광저우 | ||
11월 21일 | 덴마크/Danmarkda | 승 2–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11월 24일 | 이탈리아/Italiait | 승 3–2 | 장먼 스타디움, 장먼 | ||
준결승 | 11월 27일 | 스웨덴/Sverigesv | 승 4–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결승전 | 11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2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
1995 | Group stage | 6월 6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8–0 | 팅발렌, 칼스타드 |
6월 8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승 2–0 | |||
6월 10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0 | 스트룀발렌, 예블레 | ||
6월 13일 | 덴마크/Danmarkda | 승 3–1 | 팅발렌, 칼스타드 | ||
준결승 | 6월 15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승 1–0 | 아로스발렌, 베스테로스 | |
결승전 | 6월 18일 | 독일/Deutschlandde | 승 2–0 | 로수다 스타디움, 솔나 | |
1999 | Group stage | 6월 20일 | 러시아/Rossiyaru | 승 2–1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6월 23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1 | 잭 켄트 쿡 스타디움, 랜도버 | ||
6월 26일 | 일본/日本일본어 | 승 4–0 | 솔저 필드, 시카고 | ||
6월 30일 | 스웨덴/Sverigesv | 승 3–1 | 스파르탄 스타디움, 산호세 | ||
준결승 | 7월 4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패 0–5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
3위 결정전 | 7월 10일 | 브라질/Brasilpt | 무 0–0 (승부차기 4–5) | 로즈 볼, 패서디나 | |
2003 | Group stage | 9월 20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승 2–0 |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
9월 24일 | 브라질/Brasilpt | 패 1–4 | RFK 스타디움, 워싱턴 D.C. | ||
9월 2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7–1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
10월 1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0–1 | |||
2007 | Group stage | 9월 12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2–1 | 황룡 스포츠 센터, 항저우 |
9월 15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 |||
9월 20일 | 가나/Ghana영어 | 승 7–2 | |||
9월 23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승 1–0 | 우한 스타디움, 우한 | ||
준결승 | 9월 26일 | 독일/Deutschlandde | 패 0–3 |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톈진 | |
3위 결정전 | 9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4 | 훙커우 스타디움, 상하이 | |
2011 | Group stage | 6월 29일 | 적도 기니/Äquatorialguineade | 승 1–0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
7월 3일 | 브라질/Brasilpt | 패 0–3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 ||
7월 6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패 1–2 | 바이아레나, 레버쿠젠 | ||
2015 | Group stage | 6월 7일 | 태국/ไทยth | 승 4–0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6월 11일 | 독일/Deutschlandde | 무 1–1 | |||
6월 15일 |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 | 승 3–1 | 몬턴 스타디움, 멍크턴 | ||
16강 | 6월 22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1–2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
2019 | Group stage | 6월 8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3–0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6월 12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패 1–2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6월 1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2–1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
16강 | 6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승부차기 4–1)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8강 | 6월 27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0–3 | 스타드 오세안, 르아브르 | |
2023 | Group stage | 7월 20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패 0–1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7월 25일 | 스위스/Schweizde | 무 0–0 | 포사이드 바 스타디움, 더니든 | ||
7월 30일 | 필리핀/Philippines영어 | 승 6–0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
16강 | 8월 5일 | 일본/日本일본어 | 패 1–3 |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웰링턴 |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12번 출전하여 1987년과 199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89년, 1991년, 2005년, 201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2017년, 2022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84년 | 진출 실패 | |||||||
1987년 | 우승 | 2 | 2 | 0 | 0 | 4 | 1 | |
1989년 | 준우승 | 2 | 1 | 0 | 1 | 3 | 5 | |
1991년 | 준우승 | 2 | 0 | 1 | 1 | 1 | 3 | |
1993년 | 우승 | 2 | 2 | 0 | 0 | 2 | 0 | |
1995년 | 4강 | 2 | 1 | 0 | 1 | 5 | 7 | |
1997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5 | 2 | |
2001년 | 4강 | 4 | 1 | 1 | 2 | 4 | 3 | |
2005년 | 준우승 | 5 | 2 | 1 | 2 | 10 | 10 | |
2009년 | 4강 | 5 | 2 | 1 | 2 | 6 | 9 | |
2013년 | 준우승 | 6 | 3 | 2 | 1 | 7 | 4 | |
2017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4 | |
2022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4 | 10 | |
2025년 | ||||||||
합계 | 12/13 | 39 | 16 | 7 | 16 | 51 | 58 |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축구 본선에 3번 출전했다. 1996년 대회에서 동메달, 200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0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004년 대회와 2012년부터 2024년 대회까지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
하계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결과 | 순위 | * | 선수 명단 | |||||
1996 | 동메달 | 3위 | 5 | 3 | 1 | 1 | 12 | 6 | 선수 명단 |
2000 | 금메달 | 1위 | 5 | 4 | 0 | 1 | 9 | 6 | 선수 명단 |
2004 | 진출 실패 | ||||||||
2008 | 8강 | 7위 | 4 | 2 | 0 | 2 | 5 | 7 | 선수 명단 |
2012 | 진출 실패 | ||||||||
2016 | |||||||||
2020 | |||||||||
2024 | |||||||||
2028 | 미정 | ||||||||
2032 | |||||||||
합계 | 금메달 1개 | 3/8 | 14 | 9 | 1 | 4 | 26 | 19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한다.''
2023-24 시즌 리그 A에서 3위를 기록하여 잔류하였다.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리그 단계 | rowspan=5| | 결선 | |||||||||||||||||||
시즌 | 년도 | ||||||||||||||||||||
2023-24 | A | 2 | 3위 | 8 | 3 | 2 | 3 | 17 | 8 | * | 12위 | 2024 | 진출 실패 | ||||||||
2025 | A | 2 | 미정 | 2025 | 미정 | ||||||||||||||||
합계 | 8 | 3 | 2 | 3 | 17 | 8 | - | 합계 | - | - | - | - | - | - |
시즌 종료 시 승격 | |
시즌 종료 시 변동 없음 | |
시즌 종료 시 강등 | |
* | 승강 플레이오프 참가 |
3. 1. FIFA 여자 월드컵
199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2019년 대회까지 8회 연속 여자 월드컵 본선에 올라 1995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초대 대회인 1991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나, 이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꾸준히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다.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1년 | 준우승 | 6 | 4 | 0 | 2 | 14 | 10 |
1995년 | 우승 | 6 | 6 | 0 | 0 | 23 | 1 |
1999년 | 4위 | 6 | 4 | 1 | 1 | 16 | 8 |
2003년 | 8강 | 4 | 2 | 0 | 2 | 10 | 6 |
2007년 | 4위 | 6 | 3 | 1 | 2 | 12 | 11 |
2011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2 | 5 |
2015년 | 16강 | 4 | 2 | 1 | 1 | 9 | 4 |
2019년 | 8강 | 5 | 2 | 1 | 2 | 7 | 7 |
2023년 | 16강 | 4 | 1 | 1 | 2 | 7 | 4 |
합계 | 9/9 | 44 | 25 | 5 | 14 | 100 | 56 |
FIFA 여자 월드컵 역사 | |||||
---|---|---|---|---|---|
년도 | 단계 | 날짜 | 상대팀 | 결과 | 경기장 |
1991 | Group stage | 11월 16일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패 0–4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11월 19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승 4–0 | 광둥성 스포츠 경기장, 광저우 | ||
11월 21일 | 덴마크/Danmarkda | 승 2–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11월 24일 | 이탈리아/Italiait | 승 3–2 | 장먼 스타디움, 장먼 | ||
준결승 | 11월 27일 | 스웨덴/Sverigesv | 승 4–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결승전 | 11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2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
1995 | Group stage | 6월 6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8–0 | 팅발렌, 칼스타드 |
6월 8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승 2–0 | |||
6월 10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0 | 스트룀발렌, 예블레 | ||
6월 13일 | 덴마크/Danmarkda | 승 3–1 | 팅발렌, 칼스타드 | ||
준결승 | 6월 15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승 1–0 | 아로스발렌, 베스테로스 | |
결승전 | 6월 18일 | 독일/Deutschlandde | 승 2–0 | 로수다 스타디움, 솔나 | |
1999 | Group stage | 6월 20일 | 러시아/Rossiyaru | 승 2–1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6월 23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1 | 잭 켄트 쿡 스타디움, 랜도버 | ||
6월 26일 | 일본/日本일본어 | 승 4–0 | 솔저 필드, 시카고 | ||
6월 30일 | 스웨덴/Sverigesv | 승 3–1 | 스파르탄 스타디움, 산호세 | ||
준결승 | 7월 4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패 0–5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
3위 결정전 | 7월 10일 | 브라질/Brasilpt | 무 0–0 (승부차기 4–5) | 로즈 볼, 패서디나 | |
2003 | Group stage | 9월 20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승 2–0 |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
9월 24일 | 브라질/Brasilpt | 패 1–4 | RFK 스타디움, 워싱턴 D.C. | ||
9월 2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7–1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
10월 1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0–1 | |||
2007 | Group stage | 9월 12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2–1 | 황룡 스포츠 센터, 항저우 |
9월 15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 |||
9월 20일 | 가나/Ghana영어 | 승 7–2 | |||
9월 23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승 1–0 | 우한 스타디움, 우한 | ||
준결승 | 9월 26일 | 독일/Deutschlandde | 패 0–3 |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톈진 | |
3위 결정전 | 9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4 | 훙커우 스타디움, 상하이 | |
2011 | Group stage | 6월 29일 | 적도 기니/Äquatorialguineade | 승 1–0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
7월 3일 | 브라질/Brasilpt | 패 0–3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 ||
7월 6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패 1–2 | 바이아레나, 레버쿠젠 | ||
2015 | Group stage | 6월 7일 | 태국/ไทยth | 승 4–0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6월 11일 | 독일/Deutschlandde | 무 1–1 | |||
6월 15일 |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 | 승 3–1 | 몬턴 스타디움, 멍크턴 | ||
16강 | 6월 22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1–2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
2019 | Group stage | 6월 8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3–0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6월 12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패 1–2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6월 1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2–1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
16강 | 6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승부차기 4–1)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8강 | 6월 27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0–3 | 스타드 오세안, 르아브르 | |
2023 | Group stage | 7월 20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패 0–1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7월 25일 | 스위스/Schweizde | 무 0–0 | 포사이드 바 스타디움, 더니든 | ||
7월 30일 | 필리핀/Philippines영어 | 승 6–0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
16강 | 8월 5일 | 일본/日本일본어 | 패 1–3 |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웰링턴 |
3. 1. 1. 경기 역사
FIFA 여자 월드컵 역사 | |||||
---|---|---|---|---|---|
년도 | 단계 | 날짜 | 상대팀 | 결과 | 경기장 |
1991 | Group stage | 11월 16일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패 0–4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11월 19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승 4–0 | 광둥성 스포츠 경기장, 광저우 | ||
11월 21일 | 덴마크/Danmarkda | 승 2–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11월 24일 | 이탈리아/Italiait | 승 3–2 | 장먼 스타디움, 장먼 | ||
준결승 | 11월 27일 | 스웨덴/Sverigesv | 승 4–1 | 잉둥 스타디움, 판위 구 | |
결승전 | 11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2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
1995 | Group stage | 6월 6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8–0 | 팅발렌, 칼스타드 |
6월 8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승 2–0 | |||
6월 10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0 | 스트룀발렌, 예블레 | ||
6월 13일 | 덴마크/Danmarkda | 승 3–1 | 팅발렌, 칼스타드 | ||
준결승 | 6월 15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승 1–0 | 아로스발렌, 베스테로스 | |
결승전 | 6월 18일 | 독일/Deutschlandde | 승 2–0 | 로수다 스타디움, 솔나 | |
1999 | Group stage | 6월 20일 | 러시아/Rossiyaru | 승 2–1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6월 23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7–1 | 잭 켄트 쿡 스타디움, 랜도버 | ||
6월 26일 | 일본/日本일본어 | 승 4–0 | 솔저 필드, 시카고 | ||
6월 30일 | 스웨덴/Sverigesv | 승 3–1 | 스파르탄 스타디움, 산호세 | ||
준결승 | 7월 4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패 0–5 | 폭스보로 스타디움, 폭스버러 | |
3위 결정전 | 7월 10일 | 브라질/Brasilpt | 무 0–0 (승부차기 4–5) | 로즈 볼, 패서디나 | |
2003 | Group stage | 9월 20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승 2–0 | 링컨 파이낸셜 필드, 필라델피아 |
9월 24일 | 브라질/Brasilpt | 패 1–4 | RFK 스타디움, 워싱턴 D.C. | ||
9월 2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7–1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
10월 1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0–1 | |||
2007 | Group stage | 9월 12일 | 캐나다/Canada영어 | 승 2–1 | 황룡 스포츠 센터, 항저우 |
9월 15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 |||
9월 20일 | 가나/Ghana영어 | 승 7–2 | |||
9월 23일 | 중국/China PR중국어 | 승 1–0 | 우한 스타디움, 우한 | ||
준결승 | 9월 26일 | 독일/Deutschlandde | 패 0–3 |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톈진 | |
3위 결정전 | 9월 30일 | 미국/United States영어 | 패 1–4 | 훙커우 스타디움, 상하이 | |
2011 | Group stage | 6월 29일 | 적도 기니/Äquatorialguineade | 승 1–0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
7월 3일 | 브라질/Brasilpt | 패 0–3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 ||
7월 6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패 1–2 | 바이아레나, 레버쿠젠 | ||
2015 | Group stage | 6월 7일 | 태국/ไทยth | 승 4–0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6월 11일 | 독일/Deutschlandde | 무 1–1 | |||
6월 15일 |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 | 승 3–1 | 몬턴 스타디움, 멍크턴 | ||
16강 | 6월 22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1–2 | TD 플레이스 스타디움, 오타와 | |
2019 | Group stage | 6월 8일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승 3–0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6월 12일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패 1–2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6월 17일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승 2–1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랭스 | ||
16강 | 6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무 1–1 (승부차기 4–1) | 알리안츠 리비에라, 니스 | |
8강 | 6월 27일 | 잉글랜드/England영어 | 패 0–3 | 스타드 오세안, 르아브르 | |
2023 | Group stage | 7월 20일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패 0–1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7월 25일 | 스위스/Schweizde | 무 0–0 | 포사이드 바 스타디움, 더니든 | ||
7월 30일 | 필리핀/Philippines영어 | 승 6–0 | 에덴 파크, 오클랜드 | ||
16강 | 8월 5일 | 일본/日本일본어 | 패 1–3 |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웰링턴 |
3. 2.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12번 출전하여 1987년과 199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89년, 1991년, 2005년, 201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2017년, 2022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84년 | 진출 실패 | |||||||
1987년 | 우승 | 2 | 2 | 0 | 0 | 4 | 1 | |
1989년 | 준우승 | 2 | 1 | 0 | 1 | 3 | 5 | |
1991년 | 준우승 | 2 | 0 | 1 | 1 | 1 | 3 | |
1993년 | 우승 | 2 | 2 | 0 | 0 | 2 | 0 | |
1995년 | 4강 | 2 | 1 | 0 | 1 | 5 | 7 | |
1997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5 | 2 | |
2001년 | 4강 | 4 | 1 | 1 | 2 | 4 | 3 | |
2005년 | 준우승 | 5 | 2 | 1 | 2 | 10 | 10 | |
2009년 | 4강 | 5 | 2 | 1 | 2 | 6 | 9 | |
2013년 | 준우승 | 6 | 3 | 2 | 1 | 7 | 4 | |
2017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4 | |
2022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4 | 10 | |
2025년 | ||||||||
합계 | 12/13 | 39 | 16 | 7 | 16 | 51 | 58 |
3. 3. 올림픽 축구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축구 본선에 3번 출전했다. 1996년 대회에서 동메달, 200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08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004년 대회와 2012년부터 2024년 대회까지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하계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결과 | 순위 | * | 선수 명단 | |||||
1996 | 동메달 | 3위 | 5 | 3 | 1 | 1 | 12 | 6 | 선수 명단 |
2000 | 금메달 | 1위 | 5 | 4 | 0 | 1 | 9 | 6 | 선수 명단 |
2004 | 진출 실패 | ||||||||
2008 | 8강 | 7위 | 4 | 2 | 0 | 2 | 5 | 7 | 선수 명단 |
2012 | 진출 실패 | ||||||||
2016 | |||||||||
2020 | |||||||||
2024 | |||||||||
2028 | 미정 | ||||||||
2032 | |||||||||
합계 | 금메달 1개 | 3/8 | 14 | 9 | 1 | 4 | 26 | 19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한다.''
3. 4.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2023-24 시즌 리그 A에서 3위를 기록하여 잔류하였다.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리그 단계 | rowspan=5| | 결선 | |||||||||||||||||||
시즌 | 년도 | ||||||||||||||||||||
2023-24 | A | 2 | 3위 | 8 | 3 | 2 | 3 | 17 | 8 | * | 12위 | 2024 | 진출 실패 | ||||||||
2025 | A | 2 | 미정 | 2025 | 미정 | ||||||||||||||||
합계 | 8 | 3 | 2 | 3 | 17 | 8 | - | 합계 | - | - | - | - | - | - |
시즌 종료 시 승격 | |
시즌 종료 시 변동 없음 | |
시즌 종료 시 강등 | |
* | 승강 플레이오프 참가 |
4.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알가르브컵에는 25번 출전하여 5번의 대회(1994년, 1996년, 1997년, 1998년, 2019년)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3번의 대회(2000년, 2002년, 2004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16] 총 13번의 대회에서 3위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알가르브컵 최다 우승국이다. 알가르브컵은 포르투갈 알가르브 지역에서 매년 개최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위한 국제 초청 대회로, 포르투갈 축구 연맹(FPF)이 주최하며, 여자 월드컵 및 여자 올림픽 축구와 함께 가장 권위 있는 여자 축구 이벤트 중 하나이다.
이밖에도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1988년), 알베나컵 2회(1988년, 1989년), 4개국 친선 대회 3회(2002년, 2013년), 키프로스 토너먼트(1993년) 우승 등 각종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7][18]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알가르브컵 | 5회 | 1994, 1996, 1997, 1998, 2019 |
FIFA 여자 초청 토너먼트 | 1회 | 1988 |
알베나컵 | 2회 | 1988, 1989 |
4개국 토너먼트 | 2회 | 2002, 2013 |
키프로스 토너먼트 | 1회 | 1993 |
5. 선수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29일과 12월 3일에 열린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 북아일랜드전 소집 명단은 다음과 같다.[15]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횟수 | 득점 | 소속 클럽 |
---|---|---|---|---|---|---|
1 | GK | 세실리에 피스케르스트란드 | 1996-03-20}} ( - 1996/1996년 3월 20일영어세) | 54 | 0 | LSK 퀴네르no |
12 | GK | 셀마 파넨스튜엔 | 2002-11-22}} ( - 2002/2002년 11월 22일영어세) | 0 | 0 | 콜보튼no |
23 | GK | 오로라 미칼센 | 1996-03-21}} ( - 1996/1996년 3월 21일영어세) | 21 | 0 | 브란no |
2 | DF | 마리트 브라트베르그 룬 | 1997-11-07}} ( - 1997/1997년 11월 7일영어세) | 16 | 1 | 브란no |
3 | DF | 마르틴 외스텐스타 | 2001-03-18}} ( - 2001/2001년 3월 18일영어세) | 3 | 0 | 브란no |
4 | DF | 투바 한센 | 1997-08-04}} ( - 1997/1997년 8월 4일영어세) | 47 | 2 | 바이에른 뮌헨de |
5 | DF | 구로 베르그스반 | 1994-03-03}} ( - 1994/1994년 3월 3일영어세) | 36 | 7 | 브라이튼 & 호브 알비온영어 |
6 | DF | 마렌 옐데 | 1989-11-06}} ( - 1989/1989년 11월 6일영어세) | 178 | 20 | 아르나-비에르나르no |
13 | DF | 에밀리에 볼드비크 | 1999-01-08}} ( - 1999/1999년 1월 8일영어세) | 8 | 0 | LSK 퀴네르no |
16 | DF | 마틸데 하르비켄 | 2001-12-29}} ( - 2001/2001년 12월 29일영어세) | 27 | 1 | 로젠보르그no |
7 | MF | 잉리드 시르스타드 엥겐 | 1998-04-29}} ( - 1998/1998년 4월 29일영어세) | 80 | 6 | 바르셀로나es |
8 | MF | 빌데 뵈에 리사 | 1995-07-13}} ( - 1995/1995년 7월 13일영어세) | 80 | 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es |
11 | MF | 구로 레이텐 | 1994-07-26}} ( - 1994/1994년 7월 26일영어세) | 97 | 21 | 첼시영어 |
15 | MF | 저스틴 킬란드 | 2002-11-22}} ( - 2002/2002년 11월 22일영어세) | 3 | 0 | VfL 볼프스부르크de |
18 | MF | 프리다 마눔 | 1999-07-16}} ( - 1999/1999년 7월 16일영어세) | 84 | 21 | 아스널영어 |
20 | MF | 올라우그 트베드텐 | 2000-07-20}} ( - 2000/2000년 7월 20일영어세) | 1 | 0 | 발레렌가no |
21 | MF | 에밀리에 요라모 | 2002-01-13}} ( - 2002/2002년 1월 13일영어세) | 3 | 0 | 함마르비sv |
9 | FW | 카리나 세비크 | 1996-03-24}} ( - 1996/1996년 3월 24일영어세) | 57 | 8 | 발레렌가no |
10 | FW | 캐롤라인 그레이엄 한센 (주장) | 1995-02-18}} ( - 1995/1995년 2월 18일영어세) | 112 | 50 | 바르셀로나es |
14 | FW | 아다 헤게르베르 | 1995-07-10}} ( - 1995/1995년 7월 10일영어세) | 86 | 49 | 리옹프랑스어 |
17 | FW | 셀린 비제트 일드쇠이 | 2001-10-24}} ( - 2001/2001년 10월 24일영어세) | 25 | 7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영어 |
19 | FW | 시네 옌센 | 1996-02-15}} ( - 1996/1996년 2월 15일영어세) | 26 | 5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es |
22 | FW | 카틴카 탄베르그 | 2004-06-18}} ( - 2004/2004년 6월 18일영어세) | 5 | 0 | 함마르비sv |
출장 횟수와 골은 2024년 12월 3일 북아일랜드와의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15]
5. 2. 과거 선수
그로 에스페세트, 헤이디 스토레, 벤테 노르드비, 린다 메달렌, 헤게 리세 등은 노르웨이 여자 축구를 빛낸 선수들이다. 과거 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에서 활동했던 선수로는 헤이디 스토레, 군 니보르그, 토네 하우겐, 린다 메달렌, 헤게 리세 등이 있다.6. 역대 기록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14] 198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스웨덴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14] 1991년 월드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미국에 1-2로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14] 1993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이탈리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4] 1995년 월드컵 결승에서는 독일을 2-0으로 꺾고 우승했다.[14]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브라질을 2-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고,[14]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결승에서는 미국을 3-2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4] 2007년 월드컵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4]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독일에 0-1로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14]
헤게 리세는 1990년부터 2004년까지 188경기에 출전하여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사벨 헤를로브센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33경기에서 67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
7. FIFA 랭킹
2003년부터 FIFA 여자 랭킹이 발표된 이후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순위 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다.[19] 2003년 7월 첫 랭킹 발표 당시 2위를 기록했고, 2003년 8월에도 2위를 유지하며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19] 이후 순위 변동을 거듭하다가 2024년 12월에는 16위를 기록하며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19]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
2 | 2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4 | 5 | 5 | 5 | 5 | 6 | 6 | 9 | 10 | 7 | 7 | 7 | 7 | 7 | 7 | 9 | 10 | 12 | 12 | 13 | 13 | 13 | 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
11 | 11 | 10 | 8 | 10 | 10 | 9 | 12 | 11 | 10 | 10 | 10 | 11 | 11 | 11 | 11 | 11 | 11 | 14 | 14 | 14 | 14 | 13 | 13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1 | 12 | 13 | 12 | 12 | 11 | 11 | 13 | 12 | 13 |
2023 | 2024 | ||||||
---|---|---|---|---|---|---|---|
12 | 12 | 13 | 16 | 16 | 16 | 16 | 16 |
참조
[1]
웹사이트
Norge Kvinner Senior A – Toppscorer, gule og røde kort
https://www.fotball.[...]
[2]
뉴스
U.S. vs. Norway: Big rivalry of contrasts and styles – Chicago Tribune
https://www.chicagot[...]
Articles.chicagotribune.com
2003-10-01
[3]
뉴스
WOMEN'S WORLD CUP; Norway's Rivalry With U.S. Is Intense –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1999-06-13
[4]
웹사이트
CNNSI.com – Olympic Sports – Norway's golden goal dethrones United States – September 28, 2000 12:53 PM
http://sportsillustr[...]
Sportsillustrated.cnn.com
2000-09-28
[5]
웹사이트
Norge ute av VM – og OL | Aftenposten.no
http://fotball.aften[...]
Fotball.aftenposten.no
[6]
웹사이트
Women's EURO 2013 – Qualif. Grp –
http://www.uefa.com/[...]
Uefa.com
[7]
웹사이트
Martin Sjögren named as Norway's Womens Team Coach
http://www.womenssoc[...]
2016-12-16
[8]
웹사이트
Euro 2017 women's football finals: your group-by-group guide
https://www.theguard[...]
2016-11-06
[9]
웹사이트
Ada Hegerberg takes a step back from international duty: A look at the NFF
https://www.vavel.co[...]
2017-09-09
[10]
웹사이트
Norway FA agrees deal to pay male and female international footballers equally
https://www.theguard[...]
2017-10-07
[11]
웹사이트
Women's World Cup qualifiers, play-off contenders
https://www.uefa.com[...]
2018-09-04
[12]
뉴스
England destroy Norway 8–0 in astonishing Euro 2022 statement
https://sport.optus.[...]
Optus Sport
2022-07-12
[13]
웹사이트
Austria-Norway | UEFA Women's EURO 2022
https://www.uefa.com[...]
[14]
웹사이트
All-time women national team record (1978–2023)
http://www.rsssf.no/[...]
2020-10-27
[15]
웹사이트
Norges tropp mot Nord-Irland
https://www.fotball.[...]
Norwegian Football Federation
2024-11-21
[16]
웹사이트
Algarve Cup (Women)
https://www.rsssf.or[...]
[17]
웹사이트
Grand Hotel Varna Cup and Albena Cup (Women)
https://www.rsssf.or[...]
[18]
웹사이트
Cyprus Tournament (Women) in Agia Napa 1990–1993
https://www.rsssf.or[...]
[19]
웹사이트
Women's Ranking
https://inside.fifa.[...]
2024-12-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